독일분단극복

분단시대의 동독교회

박상봉 박사 2006. 1. 12. 16:08
 

분단시대의 동독교회

- 교회, 동독 내 최후의 보루


통일 전 동독교회는 북한의 교회가 공산당 하부조직화하고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끊임없이 당과의 갈등과 긴장관계를 유지해왔다. 이런 가운데 동독 교회는 마지막까지 교회의 본질을 지켜냈고 공산당의 반민주적 행태에 도전해왔다. 물론 동독 40년의 역사 속에서 공산당의 탄압과 회유로 교세가 기울긴 했지만 역사의 현장 속에서 끊임없이 기독정신을 지켜온 것은 본 받을 만하다. 이것은 동독사회의 기독교 전통과 함께 서독정부와 교회의 끊임없는 관심과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특히 서독의 실체는 동독의 가장 큰 위협이 되었고 동독이 그 헌법에 “교회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동일한 권한을 갖는다”고 규정한 것도 이를 의식한 결과였다. 따라서 동독의 교회탄압은 매우 은밀하게 추진되었다. 헌법에 교회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음에도 모든 종교는 마르크스주의에 동화돼 소멸되어야 한다는 내부원칙을 정해 암암리에 이를 추진해갔다. 1954년에는 유겐트바이에라고 하는 당 청소년 서약식을 도입해 이를 입교세례의 대안으로 제도화함으로 청소년들을 교회 밖으로 내몰았고 61년에는 공무원, 경찰, 군인 등 국가공직자들에게 교회탈퇴를 강요했다.


이런 공산당의 교회탄압에 대한 교회의 대응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당의 비민주적 행태에 대한 비판

이미 49년 동독건국 직후 치러진 부정선거에 대해 당시 카톨릭의 디벨리우스 주교는 “전통적 권위를 계승하고 국민의 신뢰를 누리려는 정권은 부정선거와 같은 왜곡된 역사는 만들지 않는다”며 정면대응 했다. 당과 교회의 갈등은 심화되었고 52년에는 당 전당대회에서 반교회정책을 발표했고 교회는 공산당이 그 진면목을 드러냈다고 반발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동독사회를 뒤흔들었던 1953년 노동자 봉기는 교회의 입지를 강화해주었고 교회에 대한 공산당의 회유와 함께 소위 ‘사회주의 내의 교회’라는 타협안이 자리를 잡았다. 즉 당은 교회의 독립성을 어느 정도 보장하고 교회는 사회주의를 완전 배격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사회주의 국가 속에서 교회의 존재를 인정받게 된 셈이다. 특히 83년 루터 탄생 500주년 기념행사를 맞아 이루어진 전 세계 교회지도자들의 동독 방문은 기독교적 가치의 독립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어 동독인들의 민주의식에 크게 기여했다.


둘째, ‘인권변호사’ 역할

동독 교회의 또 하나의 의미는 소위 ‘인권변호사’에서 찾을 수 있다. 동독의 반체제 인사, 정치범들이 마지막으로 찾던 곳이 바로 교회였다. 서독 정부는 동독교회를 지원해 왔던 서독 교회의 도움을 얻어 암암리에 이들을 서독으로 이주시켜 왔다. 1명 당 평균 9만 마르크(한화 약 5천만원)를 지불하며 총 3만3,755명의 정치범을 석방시켜 서독에 이주시킨 것은 세계사에 영원히 기억될 사건이다.

이런 서독의 관심과 배려 속에서 동독의 민주인사들은 온갖 탄압 속에서도 교회에서 안식을 찾았고 민주화의 불씨를 이어갈 수 있었다. 그리고 1981년 라이프찌히 니콜리아 교회에서 시작된 평화를 위한 촛불기도운동은 ‘월요데모’로 발전해 공산당의 퇴진을 강요하며 통일의 발판이 되었다. 서독의 콜 총리는 이런 민주화의 물결 속에서 통일의 가능성을 보았다고 술회하고 있다.

                                                                                                                     IUED

 

                      


◇1981년 촛불기도운동의 불을 붙였던 니콜라이 교회. 이 운동이 동독인들을 거리로 내몰았고 이들의 반공투쟁과 통일운동으로 동서독 통일이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