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분단극복

동독재건, 통신인프라

박상봉 박사 2005. 12. 30. 11:06
 

동독재건, 통신인프라

- “전화 없어도 생활에 지장이 없었다”

   6년간 약 20조원 투입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고 동서독 통일이 실현됨에 따라 구 동독지역에 대한 재건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아우프바우 오스트(Aufbau Ost)’라고 하는 국가재건계획이 마련됐고 분야별로 다양한 재건사업들이 야심있게 추진됐다.

‘텔레콤 2000’은 통신분야에 대한 재건사업으로 동독지역에 초현대적 통신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목적으로 6년간 약350억 DM(한화 약20조원)가 투입된 핵심적 사업이었다. 이 사업은 노후시설에 대한 현대화 작업과 통신회선에 대한 증설사업으로 분리 추진되었다.

당시 서독인들은 사회주의 국가 중 가장 부유했던 동독의 통신수준의 낙후성에 대해 놀랐다. 동독이 보유하고 있던 전화회선이 총 180만선에 불과했고 그나마 이 중 70만대는 산업용과 행정당국의 업무용에 할당된 형편이었다. 서독의 전화회선이 2,900만대였다는 것을 감안할 때 분단시절 동독의 통신사정의 정도를 가늠하게 된다.


사업장 전화도 서독의 경우 직장인 100명당 48대의 전화가 배당된 데 비해 동독은 19대에 불과했다. 또한 100가구당 전화대수도 서독의 경우 93대인데 비해 동독은 100가구당 16대였다. 주택용 전화의 종류도 단회선 이외에도 2인회선, 4인회선, 10인회선, 시간별회선 등을 활용해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토록 했다. 동전용 공중전화도 불과 1만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통신활용도로 본 동독 주민들의 삶의 질은 매우 열악했다.

게다가 통신 기반시설들도 대부분이 1920~30년대에 설치된 것들이어서 기본적인 통신수단용 이외에 정보용 또는 경제활동용으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했다. 그리고 동서독 간의 전화통화는 국제전화로 취급되어 비싼 요금을 물어야 했고 동독의 혼란기에는 밀려드는 전화수요로 통신상 혼란과 두절상태가 생기기도 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통일독일 정부는 통신 인프라 구축사업을 가장 핵심적인 재건사업으로 인식하고 ‘텔레콤 2000’을 강력히 추진했다. 특히 국내외 투자자 확보에 있어서 통신망 구축은 너무나도 시급한 과제였다. 무엇보다도 경제적 측면에서 기업의 통신시설을 확충토록 했다. 초기 2, 3년간은 신설전화의 3분의 1을 기업체에 배당해주는 등 경제재건을 위한 일에 우선순위를 두었다.


전화선을 증축하고 이동통신 및 인터넷 망의 구축도 ‘텔레콤 2000’ 구상 속에 착실히 추진되었다. 통일 전 동독에는 개인이 사적으로 전화를 신청할 경우 전화가 가설될 때까지 20년이나 긴 시간을 대기해야 할 정도로 기반시설의 수준이 미흡했으며 일반인들이 수동식으로 외부와의 전화를 사용할 경우에도 통화연결을 위한 대기시간이 3, 4시간이 되는 적도 다반사였다.

‘텔레콤 2000’ 사업은 이런 열악한 통신수준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조치였고 그로 인해 통신망은 초현대적 기반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이제 사람들은 동독의 전화상의 음질이 서독보다 훨씬 좋다고 말한다. 과거 “우리는 전화가 없어도 생활하는데 아무 지장이 없었습니다”라고 자존심 반 부러움 반으로 굳이 전화의 필요성을 부인하던 동독인들이 이제는 최신의 통신설비로 서독사회 뿐 아니라 전세계 어느 곳 보다 질 좋은 통신서비스를 향유하고 있다.

IUED

 

 

            

 

           ◇ 동독에 위성시대를 연 지름 15m 위성 안테나